Guanah觀我Story
열혈, 카라 백합(10월 31일 탄생화) 이야기 본문
출처 : 모야모 매거진
![](https://blog.kakaocdn.net/dn/cceuXr/btsKqPzbxUx/AX8UOZDXj7zmn1KSgVNyWk/img.png)
이름 : 카라 백합
학명 : Zantedeschia aethiopica
꽃말 : '열혈'
꽃 운세 : 열정이 있어 어려움에도 꺾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충동적인 판단은 화를 부르는 법,
차가운 이성으로 마음속의 열정이 향할 곳을 잘 겨냥해야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ZUwMn/btsKpQTc4qw/blAlmeke2TaL8Pet5zJ9hk/img.jpg)
10월 31일 탄생화는 카라 백합( Calla Lily)입니다.
외래어 표기법에 의하면 '칼라'가 맞으나,
시중에서는 흔히 카라 백합이라고 부릅니다.
'칼라 백합'이라고 하면 '색이 있는 백합 (Colored Lily)'이라는,
뜻으로 오해할 소지가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칼라 백합은 아프리카의 나일강 유역이 원산지인 천남성과의 다년생 초본식물입니다.
이 때문에 칼라 백합은 '나일강의 백합'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하지만 칼라 백합은 사실 백합과는 거리가 먼 식물입니다.
우리가 꽃잎으로 알고 있는 것은 사실 포엽으로,
칼라 백합의 실제 꽃은 매우 작아서 보잘것없다고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b48gR/btsKrdfim5Y/7CkSNsc3hZ9cRo3Jr8vCOk/img.jpg)
칼라 백합은 우기와 건기가 극명하게 나뉘는 기후에서 자생합니다.
우기에는 땅에 빗물이 고여있을 정도로 습한 곳에서 자라며,
덩이줄기에서 수분을 저장하다가 건기가 오면 모아놓은 수분을 사용하여 살아남습니다.
그런 기후에서 스스로 살아남는 법을 배운 덕택일까요?
칼라 백합은 여리여리 해 보이는 꽃과는 다르게 의외로 생명력이 강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fiPoh/btsKpf0bbHw/gsmviLQjfwo0J1UdtKsnT1/img.jpg)
칼라 백합은 탐험과 식민지 개척이 시작되던 17세기,
이탈리아의 식물학자에 의해 발견되어 유럽에 전파되었습니다.
처음 유럽에 칼라 백합이 들어왔을 때,
칼라 백합은 특유의 강한 생명력과 번식력으로 유럽 전역으로 번져나갔다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생태학에 관심이 덜하던 그 시절에도,
칼라 백합을 외래침입종이라며 곱게 보지 않던 시선이 있었다고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0mpZV/btsKrgQAo4v/kY9kYJ9voxiKleFuucbk4k/img.jpg)
시간이 지나서,
꽃에 담긴 의미로 마음을 전하는 것이 유행했던 빅토리아 시대가 되어 칼라 백합은 주목을 받게 되었는데요,
모든 것에 지나칠 정도의 정숙함을 요구하던 빅토리아 시대 사람들이 보기에 칼라 백합은 음란한 꽃이었다고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nny6D/btsKquWl745/mJx5WzHqnmvqABm4lkhdRk/img.jpg)
꽃의 모양이 여성의 성기를 연상시킨다는 조금 황당한 해석 때문이었지요.
오늘날 칼라 백합의 꽃말,
'열정', '열혈'도 당시에는 '색욕', '욕망'에 더 가까운 의미였다고 합니다.
그래서일까요?
당시에 다른 사람에게 칼라 백합을 보내는 것은 큰 실례였다고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kBzzm/btsKp6Bs3fS/K9xevykNelxuXkyltZ6wy0/img.jpg)
칼라 백합은 우리나라에도 들어오는데,
그 시기는 1912년입니다.
수 백 년, 수천 년 전에 들어와 우리나라 문화 깊숙이 자리 잡은 다른 외래종 식물과는 달리,
칼라 백합은 들어온 지 얼마 되지 않아,
이름도 '칼라( Calla)'라는 외국 이름을 그대로 쓰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1V68D/btsKqnCYNaH/fKkoqBubMk9VKfBFPksAS1/img.jpg)
흰 칼라 백합은 단아하고 기품 있는 모습 덕분에 인기가 많습니다.
특히 맑은 흰 꽃잎 덕에 순수함을 떠올리는 사람이 많아서,
결혼식의 꽃다발이나 기독교의 부활절 의식의 꽃장식에 많이 사용됩니다.
수 백 년 전 음란함을 상징했던 칼라 백합이,
현대에 이르러서는 정반대의 의미를 지니게 된 것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kq7k/btsKpC8NTfq/6KqMC5IQy0PfxB7TcSJ220/img.jpg)
칼라 백합에는 여러 종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흰색 꽃을 피우는 '에디오피카(Z. aethiopica)'종이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에디오피카 종은 물가에 사는 수생식물인데,
우리가 익히 아는 하얀색 꽃을 피웁니다.
그 밖에 노란빛이나 주황색, 분홍색 등,
다른 색의 꽃을 피우는 품종도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fz0h/btsKqxFxMjN/k0rm6jerYpYWKBUHF29JD0/img.jpg)
이런 품종은 노란 꽃을 피우는 '엘리오티아나(Z. elliottiana)',
장미색 꽃을 피우는 '레미니이(Z. rehmanii)' 등,
다른 종을 재배한 것이거나 이 들을 교배하여 만든 것입니다.
이렇게 교배로 만든 품종은 건생인 경우가 많은데요,
흰색 꽃을 피우는 에디오피카 종보다 내한성이 약해서,
남부지방이 아니면 노지에서 월동시키기 어렵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4ZYrO/btsKp2FQwu7/mpFhs9Gv56yfVXyvEOMJYk/img.jpg)
10월 31일은 칼라 백합에 대해서 소개해드렸습니다.
이름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지만,
꽃다발이나 꽃꽂이에서 흔하게 쓰이기에 실물을 보면 왠지 익숙한 꽃이지요.
그럼 오늘 하루도 즐겁게 보내시기를 바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QoAF3/btsKqDFKwxD/0rXIvhbwpG7GSfH4DmqAk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UoTH4/btsKqA3ijT4/l442sfhTJKZhS3XsXf6Ay1/img.jpg)
'반려伴侶Companion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성애, 루피너스(11월 2일 탄생화) 이야기 (0) | 2024.11.02 |
---|---|
유일한 사랑, 서양 모과(11월 1일 탄생화) 이야기 (0) | 2024.11.01 |
악의, 로벨리아(10월 30일 탄생화) 이야기 (0) | 2024.10.29 |
이끄시는 대로, 해당화(10월 29일 탄생화) 이야기 (0) | 2024.10.29 |
은은한 아름다움, 무궁화(10월 28일 탄생화) 이야기 (0) | 2024.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