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수학數學Math Story/대한수학교육학회 (206)
Guanah觀我Story
1. Mathematical, experimental and metaversal approaches to catenoid in geometry education 2. 수학교육에서의 인공지능: 지능형 교수 시스템에 대한 체계적 문헌 검토 3. 증명과 정당화 사이의 관계를 바라보는 국내 수학교육 연구의 관점 탐색 4. 교육과정에서 수학 내적 연결의 구체화 방안 모색: 수학적 개념의 수평적 연결을 중심으로 5. 교사의 설명하기 역량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과정 자료 분석 연구: 실제-기반 교사교육을 중심으로 6. 베이즈 통계학의 교수학적 분석과 학교수학에서의 적용 가능성 탐색 7. 로봇을 활용한 기하 교수⋅학습 환경에서 초등학생의 각에 대한 수학적 의미 형성: 배치와 제스처‒다이어그래밍을 중..
1. 비주기적 타일링을 이용한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2.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도형 영역의 교수학적 의도와 실행에 관한 분석 3. 고등학교 교사 연수가 교사 개인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4. 이산량의 분수를 위한 초등학교 3학년의 시각적 표현 분석 5. 치환적분의 서술방식에 대한 한국과 미국 교과서 비교 분석 6. 초등학생의 수학 과제 수행 특성에 대한 인지적 요구 수준별 분석 7. 초등학생을 위한 수학적 회복탄력성 측정 도구 개발 연구 8. 수학학습 정의적 영역을 이용한 대학 이공계 전공 예측 기계학습 분석
1. 직관주의 수학 및 고전 수학 관점에 따른 교과서의 귀류법 증명에서 무리수 √2의 존재성 문제: ‘√2는 유리수가 아니다’ 대 ‘√2는 무리수이다’ 2.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산술-대수 구조 감각 탐색 3. 미국과 한국 초등 예비교사의 노티싱 역량과 유형 비교 4.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서 수학적 기호의 의미작용 분석 5. 과제의 반복적인 수정과 실행을 통한 수학교사의 집단 창의성 개념에 대한 지식과 교수 활동의 변화 분석 6. 비구조화된 의사결정형 문제해결에서 초등수학영재 집단의 창의적 시너지 사례 연구 7. 활동 이론에 입각한 디지털 테크놀로지 활용 수학 수업의 역동성 분석 8. 수학학습 정의적 영역을 이용한 대학 이공계 전공 예측 기계학습 분석
1. 수학사를 통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정적분 전개 sensemaking 2.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에 관한 한국과 미국 교과서 논증의 삼차원 분석 3.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디지털 소양 요소의 분석 4. 초등 예비교사들의 알지오매스 활용 과제 설계 사례 분석 5.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수세기 스킴에 대한 고찰 6. 질적 그래프를 구성하는 과제 해결에서 드러난 학생들의 공변 추론 수준 분석 7. 수학 예비교사들의 교과 역량 중심 수업 실행 지식 분석 8.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을 통한 함수적 사고의 지도 방안 탐색 9. 패턴 활동의 지도 방안 탐색을 위한 초등학교 2학년 규칙 찾기 단원의 수업 분석 10.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 해석을 통한 교사의 ‘핵심 아이디..
1. 시기변인, 학교변인 및 학생변인에 따른 고등학생 수학불안 요인별 분석 2. 수학적 논의와 임파워먼트를 위한 교사의 수업 조직 연구 3. 단위 조정 수준이 다른 중학교 2학년 세 명의 비례와 일차함수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 4. 핀란드 1~2학년 초등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수학적 요소 분석 5.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에서의 독립성과 시행 개념 분석: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6. 고등학생들의 직관적인 무한소 담론과 학교수학 담론의 commognitive 갈등 사례 연구 7. 우리나라와 미국 교과서의 사각형의 성질 과제 비교: 추론 및 논증 역량 요구수준을 중심으로
1.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변화 방향 탐색 2.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 표준점수 산출 방식 이해도 제고를 위한 교사 연수 자료 개발 연구 3.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촉진하는 학생들의 정적분 개념 구성 분석 4. 초등학생의 등호에 대한 의미 이해에 따른 등식 구조 이해 및 해결 전략 분석 5. 표집변이성에 대한 추론 능력 함양을 위한 학습 경로 설계 연구 6. 외국 교과서 분석을 통한 상자그림 단원 구성 방안 탐색 7. 공간 감각 신장을 지원하는 초등수학 교수․학습의 방향성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