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수학數學Math Story/한국수학교육학회 (177)
Guanah觀我Story

1. 한국, 일본, 홍콩, 핀란드, 싱가포르 초등 수학 교과서의 합동과 대칭에 대한 비교·분석 2. 교구를 활용한 탐구기반 외심 학습 3. 큰 수의 법칙 시뮬레이션에서 중학생의 안구 운동 분석 4. 미래학교 수학교실의 교육 방법론에 대한 탐색 비구조화된 문제에서 학생들의 질문 만들기를 중심으로 5. `수학 과제 탐구` 과목의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6. 수학 교사의 주목하기와 반응적 교수의 관계 모든 학생의 수학적 사고 계발을 지향하는 수업 상황에서

1. 무리수 단원에 대한 교과서 분석 연구 과정과 대상의 관점으로 2. 싱가포르의 높은 양성평등수준과 TIMSS 2011에 나타난 여학생의 높은 수학성취도 3. 수학 성취도가 낮은 학생의 보충 지도 과정에서 블렌디드 e-러닝과 개별화 교수체제의 효과 비교 분석 4. 진로탐색을 강화한 수학과 자유학기제 통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5. 초등학교 분수 학습에서 퀴즈네어 막대 활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6.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분석

1. 스토리텔링 기반 수학 교과서에 대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인지부하 분석 - `수와 연산` 영역의 한 주제를 중심으로 - 2. 중등수학 예비교사들의 통계적 소양 표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3. 수학적 창의·인성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4. 고등학교 기하와 벡터 과목에서 풀이과정 서술의 오류 분석 5.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및 익힘책에 제시된 변수 개념에 관한 분석 6. 추상에서 구체로의 상승을 통한 삼각함수의 재구성 7. 대학과 협력한 초등수학 교사학습공동체의 발달 과정에 관한 연구

1. MQI를 이용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수학수업의 질 분석1) 2. CBAM(Concerns-Based Adoption Model)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관심도, 실행 수준, 실행 형태 및 관계 연구1) 3. 수학 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의 종단적 추이 분석 4. 한국 학생들의 수학과 수학 학습에 대한 가치 인식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5. 수학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창의성과 인성 교육 전문성 신장 내용요소 탐색1) 6. 동료 릴레이 피드백 전략이 수학과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7. 중학교 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 통합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1. 연속적으로 공변하는 두 양에 대한 추론의 차이가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2.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내용 적정성 분석 - 단원 구성 및 어휘 사용을 중심으로 - 3. 반전학습(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수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참여 요인 탐색 4. 통계적 추정을 가르치기 위한 수학적 지식(MKT)의 분석 5. 역함수와의 교점을 구하는 과제에 대한 분석 6. 자기주도학습과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수학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 주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7. 비심리적 처치프로그램에 의한 고등학생 수학불안집단 간의 뇌파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