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수학數學Math Story/한국수학교육학회 (177)
Guanah觀我Story

1.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선택과목 교과서의 수학교사 체감난이도 분석 2. 수학적 사고에 동원되는 두뇌 영역들과 이의 교육학적 의미 3. 한국 수학 교과서와 미국 CMP 교과서의 비교,분석 -중학교의 방정식과 함수 단원을 중심으로- 4. 수학교육에서 스토리텔링(storytelling)에 대한 문헌 분석 연구 5. 원뿔곡선에 관한 Apollonius의 Symptoms 재조명과 시각화 6. 수학개념 형성단계에 대한 모델과 적용사례 -분수 체 형성 추상화 단계 7.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기하영역의 수학 과제 분석

1. 수학교과에서 집중이수제 시행에 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조사 2. 수학창의성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3. 수학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 모델(MG-CPS)을 일반학생의 수학 학습에 적용한 사례연구 4. 일반화 과정과 그 정당화에서 “이해”의 완전성에 대한 연구 -산술, 기하, 조화평균을 중심으로 5. 수학과 교수,학습 시사점 도출을 위한 2010, 2011년 국가수준 초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내용 비교 분석 6. 중등 초임 수학교사들의 컴퓨터 활용의 인식에 따른 활용도에 대한 연구 7. 중학교 수학 수업에서 정수의 사칙계산의 원리에 따른 모델 선택에 관한 연구 8.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나타난 수학적 연결의 대상과 방법 분석 9. 원과 관련된 문제에서 각과 호의 관점으로의 접근

1. Graph Art를 활용한 함수 지도에 관한 연구 -울산 WISE 과학캠프활동을 중심으로 한 사례연구- 2. 등비수열의 정의에 대한 연구 3. 고등학교 수학 교사의 스토리텔링 수학 교과서에 대한 이해 4. 고등학교 수학 교사의 스토리텔링 수학 교과서에 대한 이해 5.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의 타당성 검토 활동에 관한 사례연구 6. 한국 사범대학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 및 교수방법 분석 7. 교육소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확률 이해수준에 관한 연구

1.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비구조화된 문제에서 나타난 해결 과정 및 추론 분석 2. 수학교육의 의의 및 교육 방식에 관한 역사적 고찰 케임브리지대학과 UCL의 사례를 중심으로 3. 마이크로티칭에서 수학 예비교사들의 수업 행동과 변화에 대한 연구 4. 예비 초등 교사의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인식 5. 수학적 지식의 특성요소에 대한 수학교육전공 대학생의 인식 상황 6. 좋은 수학수업과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현직수학교사 인식 조사 학교급 및 교육경력에 따른 차이 조사

1. 교과서에 표현된 복소수와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실태 분석 2. 자연수와 분수 연산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분석 3. 대수식과 디자인의 연결과정에서의 영재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과정 분석 4. 협동학습이 사회적 심리적 유익에 미치는 영향 5. 상황모델에 기반한 학생들의 고유치와 고유벡터 개념발달

1.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수학 수업 모형 사례 2. 일상적 정의에서 수학적 정의로의 이행 -영재 중학생들의 점과 선의 정의 인식- 3. 초등 영재 교수,학습을 위한 평면에서의 등주문제 내용구성 연구 -기하적인 방법을 중심으로- 4. 주제탐구형 자료가 과학고 수학영재의 문제해결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확률,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5. 중학교 3학년 수학교과서 통계단원에 나타난 요약개념 분석 6. 초,중등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의 주제별 동향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