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anah觀我Story
선운사[禪雲寺]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500 본문
출처 : TOURNURI.COM: 선운사 (Seonunsa Temple, KOREA) (tournuricom.blogspot.com)
![](https://blog.kakaocdn.net/dn/b8hiSC/btsrEq5wDsa/V00TtBjzrILaAbkUxEaGpk/img.jpg)
선운사는 일반인들에게 가수 송창식이 부른 유행가 가사에서 처음 들어보았을 법한 사찰이다.
![](https://blog.kakaocdn.net/dn/FmQIT/btsrDdew85l/XkkIrt7lnDfTDOrXHvC610/img.jpg)
관심이 없는 분들이라면 선운사가 전라북도 고창군 도솔산 북쪽 자락에 자리 잡고 있고,
어떤 특징을 가진 절집인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https://blog.kakaocdn.net/dn/by6EQj/btsrBPS3C7h/DHkgb0saoZNk6sJ9kX7bBk/img.jpg)
천년고찰 선운사는 신라 진흥왕이 창건했다는 설과,
백제 위덕왕 24년 577변 고승 검단선사가 창건했다는 설이 전해져 오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EB7Ww/btsrDFIC4L0/oIQRQyLsmhqeyEZhtB3MW1/img.jpg)
이후 폐사된 사찰을 고려 공민왕 3년 1354년 효정스님이 중창하였고,
조선시대 여러 차례 중창과 재건을 거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rGKfb/btsrBoVpUS9/BRSut89JSk1HTWvMZOMJN1/img.jpg)
현재 선운사에서 가장 오래된 전각인 보물 제290호 대웅보전은,
임진왜란때 전소된 것을 조선 광해군 5년 1613년 다시 지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1K03n/btsrEyJgdZR/sHV0VhNY8j6yaDFdXzyadk/img.jpg)
그래서 인지 유난히 유서 깊어 보이는 선운사 대웅보전은,
정면5칸 측면3칸의 정방형 평면구조를 가진 전각으로 다포계 맞배지붕방식으로 건축되었고,
배흘림 기법을 적용한 두리기둥을 사용한 조선후기의 대표적 목조 건축물중 하나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FiPNX/btsrH3vrodf/Jhn9zMMirHU8qRoxVbxljk/img.jpg)
계절별로 특별히 아름다운 절이 있기 마련인데 선운사는 특히 봄에 더 빛을 바라는 절집으로 유명하다.
![](https://blog.kakaocdn.net/dn/o269x/btsrDFV8FIu/uiYSCkeYOUXZJK7qJiiR5k/img.jpg)
일직선으로 배치된 주요 전각 뒤편에 집단으로 서식하고 있는 천연기념물 동백나무숲에,
동백꽃이 피는 계절이 선운사를 둘러보기에 가장 적합한 계절이라는데는 별로 이견이 없다.
![](https://blog.kakaocdn.net/dn/TTPXr/btsrCuAOL9k/OLs8I8HzTxaF70jhAbLs80/img.jpg)
봄에 선운사를 찾아 이 동백꽃을 감상해보지 못했으나,
선운사 경내에서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그 분위기와 아름다움이 짐작이 간다.
![](https://blog.kakaocdn.net/dn/IqbaG/btsrCP5P9Jo/J2kAc1wUCOc3VF2hfsDOjk/img.jpg)
선운사의 가람배치는 김천 직지사, 밀양 표충사와 비슷한 주요전각의 수평배치 구조를 하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Pxir6/btsrEy3yePc/loMZH8GWzLnKueOjak3TFK/img.jpg)
절의 앞쪽으로는 작은 내가 흐르고 넓은 평지위에 주요 전각들이 배치되어 있는데,
일주문과 통과하면 경내 옆구리를 통해 경내에 들어설 수 있으며 절집 한가운데 덩그러니 만세루가 자리 잡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ewMzLX/btsrDFIC4Nz/iuJ4I6B00cfkrEdek1Fc81/img.jpg)
경내가 좀 썰렁한 느낌인데 아마 지금 처럼 어정쩡한 계절인 늦가을이나 초봄에 선운사를 찾았다면,
이런 구조 탓에 아주 썰렁하고 황량한 느낌이 들 거 같다.
![](https://blog.kakaocdn.net/dn/QbHUF/btsrNnG8d27/zB4EtXK0hHekPE7FKIwAYK/img.jpg)
이런 분위기가 송창식의 유행가 가사를 만들어 낸 것은 아닐까?
![](https://blog.kakaocdn.net/dn/bTc25O/btsrDF2WA14/kf7LCMlcYK8PbCIbXhdKI1/img.jpg)
일반적인 고찰에서 찾아보기 힘든 경내 분위기가 아주 생경하게 느껴진다.
![](https://blog.kakaocdn.net/dn/9VOgD/btsrH48W9aX/x9HNGeMGT1VGvD1wK7llo1/img.jpg)
그래서 선운사는 혼자 찾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절집인 것 같다.
![](https://blog.kakaocdn.net/dn/bkMvtX/btsrCypHvLX/TUYtvsPsl7t8wGFheDGq11/img.jpg)
선운사를 둘러보면서 또 하나 받은 느낌은 참당암,도솔암,동운암,석상암등 유난히 부속암자가 많다.
![](https://blog.kakaocdn.net/dn/brTMGo/btsrBpNADv3/vAAnCMza1GIXsq3PRNFb3K/img.jpg)
특히 선운사의 부속암자인 참당암은 도솔산 정상부근에 위치한 작은 암자지만,
신라시대 의운화상이 창건하여 여러 차례 중수를 거쳐,
조선시대에 중수한 대웅전 건물이 지금까지 남아 보물 제803호로 지정되어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Sey9d/btsrNoTAx8r/gWu90TxvqsI6OC8fp3d3DK/img.jpg)
참당암 대웅전은 정면3칸, 측면3칸의 작은 규모지만,
전형식인 18세기 다포양식의 건축물로 조선후기의 빼어난 건축미를 가진 문화재로 평가받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cF7M5p/btsrAO0806O/iteWwo7mPMayMJaL6DNHnk/img.jpg)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선운사를 찾는 분이라면,
등반을 준비하여 도솔산 등반을 겸해 참당암을 꼭 한번 찾아 보기 바란다.
![](https://blog.kakaocdn.net/dn/bej1TB/btsrCSuGi5d/WZgqeqy9AKXDAVzewTstJ0/img.jpg)
그럴러면 좋은 계절을 정해 시간을 내야 할 것이므로 어정쩡한 계절에 느끼는 썰렁함도 피할 수 있을거라 생각된다.
![](https://blog.kakaocdn.net/dn/dbZupi/btsrB61g2XW/WZ1cRACCKcK19EvLUIH9p0/img.jpg)
또 큰 규모의 절집보다 이렇게 꼭꼭 숨어 있는 작은 암자가 더 큰 감동과 특별한 여운을 느끼게 해 줄때가 있는데,
선운사가 그런 경우가 아닌가 생각된다.
여행스케치 당간 syston@hotmail.com
![](https://blog.kakaocdn.net/dn/nqzYl/btsrH7YTEMz/kybPVjU0jFmknZ9rd6szG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JqQ4f/btsrCT8dtrP/u6gbgMf5k1YDOQlUm3KAT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tbbPx/btsrysjp6dj/JdsW43VNAIYchRSINtU22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mtSjN/btsrErwCN3r/BQlOGbtacS5xXrMgJwYVQ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4cSKH/btsrNl3CC7F/g75MBMzw0tCuwryICbJuR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dJdRK/btsrEz2sWM5/UsTKsI9N7zONj4fNUDXyK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nIOhv/btsrCwk7RFN/ycvOoTxEwWzX9E6VpFWAY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Fno5w/btsrBqsbmnw/QlVIsfiQKcFbUlJmb356N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9iUn3/btsrDfDn6XM/MFyQAPp7w1peTxugWYwvSk/img.jpg)
'국내여행國內旅行Domestic Travel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소사[來蘇寺]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 268 (0) | 2023.08.22 |
---|---|
[작가와 함께하는 문화유산여행] 양동마을에서 전통과 현대, 양반과 상민을 보다 (0) | 2023.08.22 |
[작가와 함께하는 문화유산여행]기암괴석과 계곡, 그리고 단풍이 어울린 주왕산 (0) | 2023.08.21 |
서울을 추억하다 (0) | 2023.08.20 |
미륵사지[彌勒寺址]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32-2 (0) | 2023.08.20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