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anah觀我Story
사랑스러움, 들장미(7월 15일 탄생화) 이야기 본문
출처 : 모야모 매거진 꼬꼬마정원사
이름 : 들장미
학명 : Rosa spp
꽃말 : '사랑스러움'
꽃 운세 : 아름다운 꽃에 좋은 열매가 열리지 않기보다는 꽃도 열매도 풍성한 것을 원하듯이 행복한 인생을 꿈꾸고 있다면 사랑에도 적극성이 필요한 당신이군요.
7월 15일의 탄생화인 들장미는 쌍떡잎식물 장미과 장미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입니다.
< 위 사진 : Rosa foetida >
들장미
한 소년이 보았네
들에 핀 장미
그리도 싱그럽고 아름다워서
가까이 보려고 재빨리 달려가
기쁨에 취해 바라보았네
장미, 장미, 붉은 들장미
소년이 말했네
"너를 꺾을 테야. 들에 핀 장미야."
장미도 말했네
"너를 찌를 테야. 나를 영원히 잊지 못하도록.
그리고, 참고만 있지도 않겠어."
장미, 장미, 붉은 들장미
그 거친 소년이 꺾었네
들에 핀 장미
장미는 거부하며 찔렀네
아파해도 슬퍼해도 소용없었네
끝내 장미는 꺾이고 말았네
장미, 장미, 붉은 들장미
- 괴테 <들장미> -
< 위 사진 : Rosa foetida >
여러분은 '들장미'하면 어떤 것이 떠오르시나요?
7월 15일의 탄생화는 외로워도 슬퍼도 울지 않는 들장미 소녀 '캔디'처럼 강인한 '들장미'가 주인공입니다.
특정된 품종을 말하기도 하는데 대표적으로 '오스트리아 들장미(Rosa foetida)'가 있습니다.
< 위 사진 : Rosa foetida >
오스트리아 들장미는 'Austrian briar', 'Persian yellow rose', 'Austrian copper rose'등으로 불리며,
종소명 foetida는 '나쁜 냄새', '불쾌한 냄새'를 뜻하는데 향기가 좋다고 소문난 장미임에도 호불호가 갈리는 향기를 가지고 있는 듯합니다.
< 위 사진 : Rosa foetida >
향기가 좋지 않더라도 유럽에서 찾아볼 수 없는 노란색의 꽃이 피었기 때문에 유럽에서 인기를 얻게 되었고 노란색 장미의 원조가 될 수 있었다고 합니다.
물론 지금은 다양한 색상의 오스트리아 들장미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들장미'라 하면 '찔레꽃(Rosa multiflora)'을 먼저 떠올립니다.
찔레꽃은 한국의 들장미로 'Baby brier', 'Baby rose', '들장미', '가시나무', '찔레', '찔레나무' 등으로 불리며,
5~6월이면 새로 나는 햇가지 끝에 흰색 또는 분홍색으로 꽃을 피웁니다.
찔레꽃은 전국의 산과 들의 기슭과 계곡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다른 장미들만큼 꽃이 화려하지는 않지만 소박한 아름다움과 은은한 향기를 내어주는 꽃입니다.
'찔레꽃', '가시나무'라는 이름처럼 가시가 많으며 가을이면 둥근 열매가 붉게 익습니다.
이 열매는 영실(營實)이라고 하여 약용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7월 15일의 탄생화인 들장미의 꽃말은 바로 '사랑스러움'인데요.
아름다운 꽃과 은은한 향기,
붉은 열매까지 '사랑스러움'이 묻어나는 7월 15일의 탄생화가 아닐까 싶습니다.
'반려伴侶Companion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꼬리풀 이야기 (0) | 2023.07.15 |
---|---|
잣나무와 스트로브잣나무(소나무과) 생태 이야기 (0) | 2023.07.15 |
벌개미취 (0) | 2023.07.14 |
동자꽃 이야기 (0) | 2023.07.14 |
선씀바귀, 벋은씀바귀, 좀씀바귀, 벌씀바귀, 씀바귀, 고들빼기, 왕고들빼기(국화과) 생태 이야기 (0) | 2023.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