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anah觀我Story
산초나무, 초피나무, 왕초피(운향과) 생태 이야기 본문
출처 : 숲 생태 이야기 | BAND
사진으로 읽는 산초나무, 초피나무, 왕초피 생태 이야기
① 산초나무
♡ 산초나무 생태 이야기
산초나무의 이름은 잎과 열매에서 특유의 향기를 내고 매운맛을 내므로 조미료로 사용하므로,
산에서 나는 조미료라 하여 이름이 붙어졌어요.
우리나라 전역의 산에서 자라는 키작은나무로 어린 가지는 녹색이지만 줄기는 회갈색을 띠고,
껍질이 변한 날카로운 가시가 나 있어요.
암수딴그루식물로 잎은 잎자루에 잔가시가 있고 작은 소엽이 13~21개인 홀수깃꼴복엽을 이루고 있어요.
꽃은 여름에 연노랑잭 자잘한 5장의 꽃잎이 모여서 피는데 향기가 없어요.
열매는 가을에 삭과열매가 갈색으로 익는데, 열매가 3갈래로 갈라지면서 까만 씨앗이 나오게 되어요.
산초나무의 잎은 모기가 싫어하는 향기를 가지고 있어서 숲에 갔을 때 잎을 맨살에 문질러 놓으면 모기를 피할 수 있는 자연 모기기피제가 되어요.
![](https://blog.kakaocdn.net/dn/F641z/btsnalt4Uaj/J7tPmBOj1LXTkyr2lHUnq0/img.jpg)
② 초피나무
♡ 초피나무 생태 이야기
초피나무는 제피나무라고도 부르는 향신료 식물로 산초나무에 비해 소엽의 가장자리가 작은 물결 모양 톱니가 있어요.
산초나무의 가시는 어긋나기를 하고 붉은색인데 반해. 초피나무의 가시는 마주나기를 하고 검은색이라서 구분점이 되어요.
산초나무와 초피나무의 잎은 호랑나비와 제비나비 애벌레가 먹는 먹이식물이에요.
열매는 기름을 짜서 먹고, 열매껍질은 추어탕과 고깃국에 넣어서 먹기도 하고, 특히 초피 열매 껍질로 만든 제피가루는 김치와 각종 음식에 향신료, 조미료로 쓰이기도 하는데, 경상도 지방에서 많이 사용을 했어요.
저는 어릴 때 모친이 김장을 하실 때 마다 제피가루를 꼭 사용하시는 모습을 보았답니다.
왕초피는 줄기와 가지에 난 가시가 넙적한 모양으로 붙어있는 점이 구분점이 되어요.
초피나무는 제피나무라고도 부르는 향신료 식물로 산초나무에 비해 소엽의 가장자리가 작은 물결 모양 톱니가 있어요.
산초나무의 가시는 어긋나기를 하고 붉은색인데 반해. 초피나무의 가시는 마주나기를 하고 검은색이라서 구분점이 되어요.
산초나무와 초피나무의 잎은 호랑나비와 제비나비 애벌레가 먹는 먹이식물이에요.
열매는 기름을 짜서 먹고, 열매껍질은 추어탕과 고깃국에 넣어서 먹기도 하고, 특히 초피 열매 껍질로 만든 제피가루는 김치와 각종 음식에 향신료, 조미료로 쓰이기도 하는데, 경상도 지방에서 많이 사용을 했어요.
저는 어릴 때 모친이 김장을 하실 때 마다 제피가루를 꼭 사용하시는 모습을 보았답니다.
왕초피는 줄기와 가지에 난 가시가 넙적한 모양으로 붙어있는 점이 구분점이 되어요.
![](https://blog.kakaocdn.net/dn/oY9Nm/btsm93fSieV/01mcetTjdDKBHgvdASCkpK/img.jpg)
③ 운향과 식물 중 탱자나무 잎을 먹는 호랑나비 유충
![](https://blog.kakaocdn.net/dn/cGMZw8/btsm7wjgdp6/AB8nedzXphpIGWmBUhQTH0/img.jpg)
'반려伴侶Companion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을 수 없어, 좁은잎배풍등(7월 12일 탄생화) 이야기 (0) | 2023.07.12 |
---|---|
기린초 이야기 (0) | 2023.07.11 |
나는 당신의 것, 아스포델(7월 11일 탄생화) 이야기 (0) | 2023.07.11 |
단풍나무 잎 (0) | 2023.07.09 |
청미래덩굴, 청가시덩굴, 민청가시덩굴(백합과) 생태 이야기 (0) | 2023.07.09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