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anah觀我Story
중복(中伏) 복달임을 대학 동기들과 함께하다(2023. 07. 21.) 본문
삼복에 복(伏) 자는
사람 인( 人)과 개 견(犬)이 합쳐져 만들어진 글자로 너무 더워 사람이 개처럼 엎드려 지낸다라는 뜻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초복(初伏)은 하지(夏至)로부터 세 번째 경일(庚日)
중복(中伏)은 하지(夏至)로부터 네 번째 경일(庚日)
말복(末伏)은 입추(立秋)로부터 첫 번째 경일(庚日)입니다.
삼복음식으로, 우리 조상들은 삼복인 초복, 중복, 말복나일 되면 팥죽과 개장국을 먹었다고 합니다.
팥은 귀신을 물리친다고 해서 먹기도 했지만,
팥성분이 열을 식혀주는 기능을 했다고 합니다.
개를 먹었던 이유는 확실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소고기나 돼지고기보다 쉽게 구할 수 있어서 보양식으로 먹지 않았을까 하고 추측을 한답니다.
닭고기는 백숙으로 많이 먹었다고 합니다.
닭고기에 인삼을 통째로 넣어 먹는 삼계탕은 인삼이 대중하되기 시작한 1970년대부터 많이 먹기 시작하였다고 합니다.
2023 초복 중복 말복 날짜(삼복) 복날 왜 뜨거운 음식을 먹을까?
더운 여름날씨에 피부가 뜨거워지면 장기는 반대로 차가워진다고 합니다.
그래서 1년 중 가장 덥다는 삼복에는,
차가운 음식대신 따뜻한 음식으로 차가워진 오장을 따뜻하게 해서 편안하고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친우親友Friend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억의 사진을 전해받다(2023. 08. 19.) (0) | 2023.08.19 |
---|---|
제주도 소식이 전해오다(2023. 08. 02.) (0) | 2023.08.02 |
두촌국민학교 46회 동창생들 모임 소식을 전해받다(2023. 06. 18.) (0) | 2023.06.18 |
2022년 6월 18일 두촌초등학교 제46회 동창회 (0) | 2022.06.19 |
두촌국민학교 46회 모임 스마트폰 저장 사진 (0) | 2021.03.2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