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국내여행國內旅行Domestic Travel Story (963)
Guanah觀我Story
출처 : 한국의 미를 담뿍 담은 한국적 생활문화공간에 선정된 우수사례 공간들 (tistory.com) 한국적 생활문화공간 시범공간 3곳 1. 법무부 서울 소년원 2. 완주군 대승한지마을 3. 연수구 새마을회관(연월당, 담묵헌) 한국적 생활문화공간 우수사례 6곳 1. 초정 (한식당) 2. CJ Food World 내 제일명가 (한식당) 3. 저집(공예 젓가락 판매점) 4. 바라움(주거공간) 5. 하얏트 리젠시 제주 한실(호텔 객실) 6. 산집(주거공간) '채'의 개념의 활용한 CJ Food World 내 제일명가 전통 디자인과 소품을 활용한 바라움 전통 한지와 좌식 문화를 담고 있는 '하얏트 리젠시 제주 한실'
출처 : 문화유산채널 > 자료실 > 참여 > 이야기 자료 (k-heritage.tv) 근대의 풍경 사이에서 사계를 만나다 최초 신사참배 거부 선도기념비와 스승의 날 기념비 성실의 표본 ‘김장생’과 ‘돈암서원’ 송시열과 우암사적공원
출처 : TOURNURI.COM: 문경새재 (Munkyung Saejae, KOREA) (tournuricom.blogspot.com) 조선시대 경상도에서 서울인 한성까지 가기 위해서는, 소백산을 넘어야 하는데 이 때 지나야 하는 곳이 조령이다. 소백산 조령에 만들어져있는 관문이 문경세재이다. 사적 제147호로 지정된 문경세재는, 삼국시대 경북 문경 관음리와 충북 중원군 수안보를 잇는 큰길 하늘재가 있었고, 1414년 태종 14년 개통된 관도로 영남지방과 기호지방을 잇는 가장 유명한 조선시대 옛길의 일부분이다. 현재 명승 제23호로 지정된 문경세재 옛길에는 3개의 관문이 남아 있는데, 제1관문이 주흘관, 제2관문이 조곡관, 제3관문이 조령관이다. 지금은 경상도쪽 행정구역은 경북 문경이고, 충청도쪽 행정구..
출처 : 문화유산채널 > 자료실 > 참여 > 이야기 자료 (k-heritage.tv) 사람을 사랑하는 지혜, 상주 존애원 최송설당이 뿌린 미래의 희망 경주 최 부잣집의 육훈과 육연
출처 : TOURNURI.COM: 양동마을 (Yangdong Folk Village, KOREA) (tournuricom.blogspot.com) 안동의 하회마을과 더불어 한국의 전통마을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지정된 전통마을이 양동마을이다. 그중에 한국 최대 규모의 전통 마을인 경주양동의 전통마을은, 지금까지 조선시대 전통문화와 자연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이 마을 전체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자, 국가지정 중요민속자료 제189호 지정되어 있다. 마을 구석 구석에는 국보, 보물, 민속자료등 수 많은 문화재들이 즐비하며, 월성 손씨와 여강 이씨의 집성촌으로, 두 집안의 종택뿐만 아니라 후손들이 아직까지 생활터전으로 삶을 영위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양동마을 뒤편에는 주산인 설창산이 자리잡고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