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anah觀我Story
일요화가, 앙리 루소(Henri Rousseau) 본문
출처 : 미술로 여는 세상 | BAND
잠자는 집시 The Sleeping Gypsy, 1897, MoMA, New York.
앙리 루소(1844~1910)는 프랑스의 화가이다.
가난한 배관공의 자제로,
프랑스 마옌 데파르트망(Department) 라발에서 태어났다.
전문적인 미술 교육 없이,
파리 세관에서 세관원으로 근무하며 틈틈이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언제부터 어떠한 계기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는지 명확하지 않으나,
언제부터 어떠한 계기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는지 명확하지 않으나,
30대 중반에 이미 환상과 전설,
원시성이 서식하는 이미지의 세계를 보여 주었다.
독학으로 주말마다 그림을 그렸기에
독학으로 주말마다 그림을 그렸기에
‘일요화가’의 대명사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그가 미술을 시작한 이 시기에 르 두아니에(Le Douanier:세관원)란 애칭을 얻게 되었다.
1885년부터 살롱 드 샹젤리제에 2점의 작품을 출품한 이후
1885년부터 살롱 드 샹젤리제에 2점의 작품을 출품한 이후
1886년 이후는 앙데팡당전과 살롱 도톤에 출품하였다.
뱀을 부리는 여인 The Snake Charmer, 1907, Musée d'Orsay, Paris.
그의 작품은 초기에는 그가 독학으로 미술을 시작했다는 것과
그의 작품은 초기에는 그가 독학으로 미술을 시작했다는 것과
어색한 인체 비례, 환상과 사실의 색다른 조합 등의 이유로 조소와 비난의 대상이 되었지만,
사후에
사후에
《경악(驚愕:숲속의 폭풍)》(1891)
《잠자는 집시》(1897)
《뱀을 부리는 여인》(1907)
《시인의 영감》(1909)
과 같은 그의 그림은 참신성과 원시적인 자연스러움을 근거로 높이 평가되었다.
그의 원시림과 같은 원초적인 세계에 대한 동경과 환상성,
그의 원시림과 같은 원초적인 세계에 대한 동경과 환상성,
강렬한 색채는 현대예술의 거장 피카소,
아폴리네르 등에 영향을 크게 미쳤다고 알려져 있다.
<경악(驚愕:숲속의 폭풍)> 앙리 루소, 1891년, 런던 내셔널 갤러리.
<원숭이와 앵무새가 있는 이국적인 풍경>은 루소의 전형적인 정글 장면이다.
앙리 루소(Henri Rousseau)는 프랑스 마옌의 라발에서 태어나
앙리 루소(Henri Rousseau)는 프랑스 마옌의 라발에서 태어나
고등학교를 중퇴한 후 앙제에 있는 법률사무소에서 일했다.
20세 때 지원병으로 육군에 입대하여 군악대에서 클라리넷 연주자로 근무,
20세 때 지원병으로 육군에 입대하여 군악대에서 클라리넷 연주자로 근무,
안지애에 주둔한 51보병 연대음악대에서 복무했다.
이때 그가 미술에 특별한 재능을 나타내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군 복무 5년째 되던 해 부친이 사망하여 제대하였고,
군 복무 5년째 되던 해 부친이 사망하여 제대하였고,
파리에서 모친과 함께 살며 서기로 있다가
71년 첫 번째 아내 클레망스의 연고지에서 파리시 입시세관(入市稅關) 직원이 되었다.
이때 르 두아니에(Le Douanier:세관원) 루소 라는 별명 혹은 애칭을 얻게 된다.
<나 자신> 앙리 루소의 자화상, 1890년. 프라하 국립미술관.
이후 22년간 세관원 생활을 계속하다가,
이후 22년간 세관원 생활을 계속하다가,
49세가 되던 해에 그림만을 그리기 위해 스스로 나온다.
루소는 매달 받는 연금 50프랑만으로는 생활을 해나갈 수가 없어 공예 학교에 나가 소묘도 가르치고
그의 화실에서 아이들에게 음악과 그림을 가르치는 등 여러 가지 일에 종사했다.

<루소 부인의 두번째 초상> 1903년, 파리 피카소 미술관.
루소는 가난했을 뿐만 아니라 가정적으로도 행복하지 못했다고 한다.
25세 때 10년 아래인 15세의 크레망스와 결혼하여 일곱 명의 아이를 낳았으나,
그 중 다섯 명이 죽고 크레망스마저
1888년 34세란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10여 년 동안을 부인 없이 지낸 루소는 55세 때인 1899년 미망인인 조세핀누와 재혼했는데
10여 년 동안을 부인 없이 지낸 루소는 55세 때인 1899년 미망인인 조세핀누와 재혼했는데
조세핀누 역시, 4년 후인 1903년에 사망하고 만다.
루소는 1890년에 그린 (나 자신, 초상 : 풍경)이란 작품 팔레트 뒷면에
이 두 여인의 이름을 써 넣어 먼저 간 크레망스를 추모하고,
재혼한 조세핀누의 건강을 빌었다.
<시인에게 영감을 주는 뮤즈> 1909, 바젤 미술관.
<시인에게 영감을 주는 뮤즈>는
<시인에게 영감을 주는 뮤즈>는
아폴리네르의 호의있는 주문에 의해 제작되었다.
아폴리네르와 그의 애인 마리 로랑생을 그린 이 그림은
아폴리네를 루소를 돕기 위해 무려 5만 프랑을 지불했다고 전한다.
피카소 등의 호의는 단순히 인간미 있는 노화가(老畵家)에 대한 선의에서 뿐만이 아니라
피카소 등의 호의는 단순히 인간미 있는 노화가(老畵家)에 대한 선의에서 뿐만이 아니라
사물을 단순화하여, 명확하고 구성적인 구도를 가진 루소의 세계에서
20세기가 필요로 하는 소박함과 큐비즘에 통하는 명확성을 인정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Self-portrait of the Artist with a Lamp, 1903
루소의 작품은 사실과 환상을 교차시킨 독특한 것이어서 초기에는 사람들의 조소를 받았다.
루소의 작품은 사실과 환상을 교차시킨 독특한 것이어서 초기에는 사람들의 조소를 받았다.
1905년경부터 피카소, 아폴리네르, 우데 등이 그의 작품에 주목하여 평가하기 시작하였으나,
그에 대한 실질적인 평가는 그의 사후에 이루어졌다.
루소는 발의 괴저(壞疽)로 인해 파리의 자선병원에서 죽었다.
<숲가에서> 앙리 루소, 1886년경, 취리히 쿤스트하우스.
A Carnival Evening, 1886, Philadelphia Museum of Art, Philadelphia, PA.
작품 평가
오늘날 루소를 환상적인 천재로,
작품 평가
오늘날 루소를 환상적인 천재로,
또는 입체파의 선구자적인 존재로 기록하는 이유는
그의 회화에서 볼 수 있는 환상과 전설,
그리고 단순화된 형태와 기하학적인 구성에 연유한다.
그의 그림은 전문적인 기교보다는 소박하고 순수한 열정을 통해 원시적인 세계를 환상에 기반해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의 그림은 전문적인 기교보다는 소박하고 순수한 열정을 통해 원시적인 세계를 환상에 기반해 제시했다는 점에서
서투름과 투박한 뒤에서 역설적이게도 숭고한 신비로움을 준다.
19세기 말엽과 20세기 초 사이에 일어난 기존 가치관의 전도와 새로운 가치 기준,
19세기 말엽과 20세기 초 사이에 일어난 기존 가치관의 전도와 새로운 가치 기준,
새 질서에의 욕구 의지는 급속한 템포로 예술 분야의 변혁을 촉구했고,
특히 유럽의 정신 세계는 세기말적인
‘**주의(-ism)의 과잉', '사상의 혼돈'이 찬양되는 시기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 루소의 어린이 같고 환상적인 화풍은 회화사의 새로운 시도로 평가될 수 있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 루소의 어린이 같고 환상적인 화풍은 회화사의 새로운 시도로 평가될 수 있었다.
Henri Rousseau - Mauvaise surprise.
루소의 그림은 전반적으로 사실주의 기법과 닮아 있으나 실제로 화폭을 면밀히 들여다 보면
루소의 그림은 전반적으로 사실주의 기법과 닮아 있으나 실제로 화폭을 면밀히 들여다 보면
인물의 신체 비례는 너무나 어색하고 과장되어 있고,
등장하는 동식물 또한 자연과 닮아 있지 않아
오히려 추상적 형태보다 환상성을 더욱 자극하기도 한다.
The Equatorial Jungle, 1909, 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D.C.
예컨대 그는 우거진 나뭇잎이나 밀생하는 풀을 표현하는 데 있어서도
예컨대 그는 우거진 나뭇잎이나 밀생하는 풀을 표현하는 데 있어서도
커다란 잎사귀 몇 개를 그려 우거진 나무로 표현하였고
풀의 모양에 있어서도 실제의 형태와 전혀 다른 것으로 그렸다.
열대의 밀림에 신비롭게 된 꽃도 루소 자신이 만든 창조물이며,
열대의 밀림에 신비롭게 된 꽃도 루소 자신이 만든 창조물이며,
거기에 배치되는 하나하나의 장면도 루소의 공상 속에서 만들어 낸 것이다.
<꿈> 앙리 루소, 1910년, 뉴욕 현대미술관.
루소가 그린 밀림 지대에는
루소가 그린 밀림 지대에는
건조한 초원에서 서식하는 사자가 살고 있고 미녀가 숲속에서 나체로 드러누워 있는 것으로 보아,
밀림의 생태적인 현장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그의 머리에 떠오른 상념 속의 열대 밀림을 창작했음이 분명하다.
실제로 어느 미술 사학자가 미국의 저명한 식물학자에게
실제로 어느 미술 사학자가 미국의 저명한 식물학자에게
루소가 그린 열대 식물의 진/부 감정을 위촉한 결과
실존하는 식물과 꼭 같은 것은 하나도 없다고 회답해 왔다고도 한다.
Henri Rousseau - Negro Attacked by a Jaguar.
The Repast of the Lion, c.1907,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Henri Rousseau - Tropical Forest with Apes and Snake.
Fight Between a Tiger and a Buffalo, 1908, Cleveland Museum of Art, Cleveland, Ohio.
The Hungry Lion Throws Itself on the Antelope, 1905
Henri Rousseau - Apes in the Orange Grove.
In a Tropical Forest Combat of a Tiger and a Buffalo, 1908~1909, Hermitage Museum, St. Petersburg.
<즐거운 어릿광대> 1906년경, 유화, 145.5 x 113cm, 필라델피아 미술관.
<숲속의 빨간 옷을 입은 여인> 앙리 루소, 1907년경, 개인.
Henri Rousseau - Woman Walking in an Exotic Forest.
Henri Rousseau - Happy Quartet 1902
The Flamingoes, 1907, Private collection.
Le Moulin (The Mill), c. 1896, Musée Maillol, Paris.
Henri Rousseau - La Tour Eiffel 1898
Henri Rousseau - Seine and Eiffel-tower in the sunset.
<세브르의 다리> 앙리 루소, 1908년, 에르미타주 미술관.
Henri Rousseau - Notre Dame.
<공원을 산책하는 사람들> 앙리 루소, 19세기경, 오랑주리 미술관.
<말라코프> 앙리 루소
쥐니에 신부의 마차 [La Carriole du Père Junier], 앙리 루소, 1908년, 오랑주리 미술관.
<평화의 사절로서 공화국에 인사를 하기 위해서 온 외국 열강들의 대표자들> 앙리 루소, 1907년, 파리 피카소 미술관.
<독립 100주년> 앙리 루소, 1892년, 알렉스 푀멜 미술관.
<전쟁> 1894년, 파리 오르세미술관.
<여름> 앙리 루소
Henri Rousseau - View of Saint Cloud.
Henri Rousseau - View of Parc de Montsouris 1894~1895
Henri Rousseau - The Football Players, 1908
Henri Rousseau - The Avenue in the Park at Saint-Cloud.
Henri Rousseau - Walking in the Parc Montsouris.
Henri Rousseau - Child with Puppet.
Henri Rousseau - Portrait of Joseph Brummer 1909
Henri Rousseau - The Painter and His Wife.
여인의 초상 [Portrait de femme], 앙리 루소, 1895년, 파리 피카소 미술관.
결혼식 [La noce], 19세기경, 163 x 114 cm, 오랑주리 미술관.
앙리 루소의 작품은 대개 문학에서 유래되었다.
앙리 루소의 작품은 대개 문학에서 유래되었다.
그렇지만 이 작품은 유명한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관련한 문학이나 사진과 같은 참고자료에 대해 거의 언급되어 있지 않다.
이 작품과 유사성이 많이 있는 듯 보이는 자료도 있긴 하지만,
루소에게 영감을 준 것은 문학 속 등장인물도 작가가 갖고 있던 사진도 아니었다.
이 작품에서 루소는 구도에 가장 공을 들이고 있다.
이 작품에서 루소는 구도에 가장 공을 들이고 있다.
화면을 구성하는 형태들이 만들어내는 힘의 선들은 X자 형태를 하고 있다.
그리고 그 X자의 교차 부분이 작품의 주인공인 신부의 허리띠에 정확하게 걸려 있다.
이를 통하여 화면이 매우 균형있어 보인다.
그리고 인물들의 주변에 나란히 서있는 나무에서,
나무 기둥과 나뭇잎들의 크기가 뒤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모습에서 약간의 원근법을 엿볼 수 있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동일한 위치에서 부동자세를 하고 있는 인물들의 표현에서는,
깊이가 없는 편평한 윤곽이 두드러지게 보이기도 한다.
이 작품은 비교적 큰 규모로 제작되었고,
이 작품은 비교적 큰 규모로 제작되었고,
여러 사람들을 담고 있다.
그러면서도 이 작품에서 얼굴들은 매우 개성 있게 표현되어 있다.
또한 화면의 배경을 이루는 나무들도 각각의 특성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게끔 표현되어 있다.
루소는 〈마차(La carriole)〉에서처럼,
이 작품에서도 윤곽선이 뚜렷한 개 한 마리를 전경에 그려 넣었다.
이와 같이 전경에 개를 그린 것은 에두아르 마네(Manet)의 작품에서도 볼 수 있는 구성이다.
이후, 루소의 이 작품에 방사선 촬영을 해보니,
이후, 루소의 이 작품에 방사선 촬영을 해보니,
여러 군데가 수정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측에 보이는 할머니의 치마는 개에게까지 내려갔었고,
신부의 면사포는 다른 인물들 위로 채색되어 있었다.
이렇듯 루소가 한 작품을 구상함에 있어서 많은 고민을 하였고,
그 만큼 화면의 구도에 많은 공을 들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랑스국립박물관연합(RMN))
Rousseau in 1902
폭풍우 속의 배 [Navire dans la tempête], 앙리 루소, 19세기경, 오랑주리 미술관.
해안의 절벽 [La Falaise], 앙리 루소(Henri Rousseau), 19세기경, 21 x 35 cm, 오랑주리 미술관.
Bouquet of Flowers, 1910, Tate Gallery, London.
Henri Rousseau - Bouquet of Flowers with an Ivy Branch.
'관아觀我Guanah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팝나무 아래에 서면 - 보릿고개 (0) | 2025.05.11 |
---|---|
카톡상에서의 소소한 일상 (2025. 05. 10.) (0) | 2025.05.10 |
부모님 전상서 - 사랑하는 나의 부모님 (0) | 2025.05.09 |
축 처진 코와 튀는 보랏빛 피부를 가진 앨리펀 - 납작한 돼지코를 갖게 된 코끼리 앨리펀 (0) | 2025.05.09 |
임혜순 (Culture & Writer's School) (주) 꾸림 대표를 만나다 (2025. 05. 08.) (0) | 2025.05.08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