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anah觀我Story
애증의 동물, 방울뱀(글 : 엘리자베스 로이트, 사진 : 하비에르 아스나르 곤살레스 데 루에다) 본문
애증의 동물, 방울뱀(글 : 엘리자베스 로이트, 사진 : 하비에르 아스나르 곤살레스 데 루에다)
Guanah·Hugo 2024. 12. 12. 00:08출처 : [애증의 동물, 방울뱀]-내셔널지오그래픽매거진
서부다이아몬드방울뱀의 잘린 머리 몇 개가,
미국 텍사스주 스위트워터에서 열리는 연례 방울뱀 포획 행사에서 판매용으로 전시돼 있다.
이 서부다이아몬드방울뱀과 다른 방울뱀들은 지갑과 허리띠,
귀걸이 및 이색 수집품 등을 만들 목적으로 곧잘 사냥을 당한다.
타이거방울뱀은 미국 애리조나주 중부부터 멕시코 소노라주에 걸쳐 바위가 많은 산기슭에 서식하며,
다른 방울뱀들과 마찬가지로 보통 공격하기를 꺼린다.
타이거방울뱀의 독은 모든 방울뱀 종 중에서 독성이 가장 강한 편에 속한다.
검은꼬리방울뱀이 통나무 위에 똬리를 틀고 있다.
한 운전자가 미국 웨스트텍사스 데이비스산맥의 도로에 있던 녀석을 이곳에 올려놓은 이후의 모습이다.
뱀은 기온이 내려가면 따뜻한 곳에서 햇볕을 쬐며 체온을 높이는 경우가 많다.
수백 마리의 방울뱀이 스위트워터에서 열린 포획 행사에서 관람 구역을 가득 메우고 있다.
뱀 취급자가 방울뱀들의 무게와 몸길이를 재고 성별을 기록한 후에,
이 녀석들은 “교육용” 시연에 사용된다.
뱀은 독이 추출된 다음 오락용으로 머리가 잘린다.
현무암 바위에 방울뱀이 새겨져 있다.
1400년 전 원주민들이 그린 이 방울뱀 암각화는,
뱀이 수 세기 동안 인간과 함께 살아왔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이 암각화는 애리조나주 매리코파 카운티에 위치한 페인티드록 암각화 유적지에 있다.
뱀 사육자 카일 바르가스가 녹색방울뱀을 다루고 있다.
이 방울뱀은 바르가스가 텍사스주 엘패소에서 키우고 있는 약 350마리의 뱀 중 한 마리다.
그가 사육 상태에서 성공적으로 번식시킨 이 종은,
전통적으로 미국 남부와 멕시코의 고산 지대에 서식한다.
파충류학자 브렌트 슐츠가 미국 위스콘신주에 있는 한 연구소로 가져갈 프레리방울뱀을 잡고 있다.
이 연구소는 해독제 제조사와 기타 과학 연구 기관에 독을 제공한다.
켄터키 파충류 동물원의 추출실에서 동부다이아몬드방울뱀의 독이 추출되고 있다.
해마다 수만 명의 사람들이 스위트워터에서 열리는 방울뱀 포획 행사로 몰려든다.
지역 자원봉사자가 마체테로 서부다이아몬드방울뱀의 머리를 잘라내면,
케이던스 마치크(12) 같은 방문객들이 20달러를 지불하고 그 방울뱀의 껍질을 벗길 수 있다.
방울뱀 몇 종은 생물 발광을 일으키는 고리를 지니고 있어 밤에 빛을 내며,
이것이 먹잇감을 유인하는 수단일 것으로 과학자들은 추정한다.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산하 독사 연구소 소속 연구원 로렌 멜처는,
해독제가 방울뱀에 물려 손상된 조직을 회복시킬 수 있는지 연구하고 있다.
레드다이아몬드방울뱀이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카운티에 있는 쓰러진 초목 사이에 자리를 잡았다.
이 방울뱀 종의 서식지는 캘리포니아주 내에서도 인구 밀집 지역에 근접해 있어 그 범위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방울뱀의 주특기]
방울뱀의 꼬리는 속이 빈 케라틴 각질 고리들이 서로 맞물린 구조로 돼 있다.
이 케라틴은 인간의 손톱과 머리카락을 구성하는 성분과 동일하다.
방울뱀이 꼬리를 흔들면 느슨한 고리들이 서로 부딪혀 소리를 내며 접근하지 말라는 경고를 보낸다.
[방울뱀의 서식지]
50종 이상의 방울뱀이 북아메리카 전역에 살고 있다.
방울뱀은 다양한 서식지에 살며,
대다수의 종은 평생 동안 태어난 곳에서 3-8km 반경을 벗어나지 않는다.
'해외여행海外旅行Overseas Trip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3극점 2극지를 정복한 유일한 탐험가(글 : 홍성택, 사진 : 홍성택) (0) | 2024.12.13 |
---|---|
백발백중 사냥꾼 붉은여우(글 : 제드 와이너, 사진 : 로널드 위텍 외) (0) | 2024.12.12 |
여행자들은 사라진 잉카 도시를 만나게 될까?(글 : 루시엔 쇼빈, 사진 : 빅토르 제아) (0) | 2024.12.11 |
과학자들이 고대의 성 역할을 재고하는 이유(글 : 톰 멧캘프) (0) | 2024.12.10 |
새롭게 복원된 노트르담 대성당(글 : 로버트 쿤직, 사진 : 토마스 반 후트리브) (0) | 2024.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