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anah 觀我 Story

수온 변화와 그 여파(글 : 브라이언 스케리, 사진 : 브라이언 스케리) 본문

해외여행海外旅行Overseas Trip Story

수온 변화와 그 여파(글 : 브라이언 스케리, 사진 : 브라이언 스케리)

Guanah·Hugo 2024. 6. 8. 09:21

출처 :  [수온 변화와 그 여파]-내셔널지오그래픽매거진 (nationalgeographic.co.kr)

 

조슬린 쿰스가 아버지 허먼 쿰스와 함께 메인주 오러스섬 근해에서 바닷가재를 잡고 있다.

그녀는 가업을 이을 계획이지만 생물학적 모형에 따르면,

이 해역의 수온이 계속 상승함에 따라 바닷가재가 점점 더 희귀해질지도 모른다.

 

대규모 회색청어 떼가 밀브룩 지류를 거쳐 상류로 이동하고 있다.

내륙에 있는 이 물줄기는 결국 메인만으로 흘러든다.

회색청어는 바다에 살지만 산란기에는 담수로 돌아간다.

한때 개체수가 급감했던 이 종은 인근의 댐이 철거된 뒤 개체수가 회복돼,

이제는 다른 물고기들과 새, 포유류의 먹잇감이 되고 있다.

 

해양생태학자 더글러스 래셔가 윈터하버 인근에 있는 한 켈프 숲에서 해수 시료를 채취하고 있다.

메인주 최남단 해안을 따라 펼쳐진 이 중요한 해양 서식지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건강해 보였지만 지금은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

 

보기 드문 북대서양긴수염고래들이 매사추세츠주 코드곶만에서 유유히 헤엄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멸종위기종에 속하는 이 고래는 주로 요각류라고 불리는 작은 생물을 잡아먹는다.

수온 상승으로 요각류의 몸집이 예전보다 작아지면서,

요각류를 먹고 사는 고래와 바닷가재 유생들이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브라이언 스케리와 스티브 드니프가 미국수산청의 해양포유류보호법 및 멸종위기종보호법 제21371호에 따라 허가를 받고 촬영함]

 

숄스제도 근해에서 바닷가재 두 마리가 굴을 놓고 다툼을 벌이고 있다.

바닷가재가 번성하면서 녀석들의 전형적인 은신처인 암초 지대에서 자리싸움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곳에는 바닷가재의 포식자들도 도사리고 있다.

 

피스카타쿠아강 어귀에 있는 웨일백 등대 인근에서 바다 위로 해무가 피어오르고 있다.

미국 키터리에 있는 이곳은 메인만으로 흘러드는 어귀 중 하나다.

이러한 해무는 따뜻한 물 위를 지나는 찬 공기가 해수면 위로 얇게 깔린 따뜻한 공기층과 섞이면서 만들어진다.

따뜻한 공기가 냉각되면서 여분의 수증기가 응결된다.

 

아직 메인만에서 찾아볼 수 있는 신비한 동물 중에는 회색바다표범이 있다.

사진작가 브라이언 스케리가 최근 숄스제도 해역으로 탐사를 떠났을 때,

회색바다표범 한 마리가 호기심 가득한 눈으로 그에게 접근했다.

 

스케리는 이 해역에서 여러 차례 잠수를 진행하면서 신비한 동물들을 많이 만났는데,

그중에는 생물 발광을 하는 유령해파리도 있었다.

 

스케리가 이 해역에서 만난 신비한 동물 중에는 실 모양의 나새류,

즉 갯민숭달팽이류에 속하는 한 종도 있었다.

 

제비갈매기 한 마리가 새끼에게 은대구를 먹이려 하고 있지만 새끼가 삼키기에 은대구의 몸집이 너무 크다.

이제 은대구는 제비갈매기가 선호하는 청어나 까나리 같은 호리호리한 은색 물고기보다 개체수가 많아졌다.

 

가족 경영 기업 뱅스아일랜드머슬스에서 일하는 해산물 수확업자들은,

10년 넘게 메인주 캐스코만에서 지중해담치를 양식해왔다.

연체동물인 지중해담치는 뗏목에 세로로 매단 밧줄에서 자라며,

윈치로 이 밧줄을 들어 올려 세척 및 선별 작업을 할 수 있다.

양식한 지중해담치는 일정 크기 이상의 녀석들만 판매용으로 남기고 나머지는 바다로 돌려보낸다.

 

캐셔스 암붕에서 놀래기과 어류 한 마리가 거대한 켈프 잎 사이를 누비고 있다.

이곳은 연구원들이 기후변화를 막는 데 필수적인 보호구역이자 피난처로 꼽은 해역이다.

해양생물을 지탱하는 동시에 바닷물에서 탄소를 흡수하는 캐셔스 암붕의 켈프 숲은,

그 규모가 미국 동부 앞바다에서 가장 크다.

 

[해류의 변화는 어떻게 메인만의 수온을 상승시키는가]

메인만은 깊은 욕조와 비슷하다.

수심이 얕은 천퇴에 차가운 북극 해수가 넘쳐 흐른다.

하지만 메인만 연구소에 따르면 녹아내리는 담수 빙하와 기후변화로 인한 다른 영향으로,

오래전부터 일정한 흐름을 유지해온 해류의 양상이 달라지고 있다.

이 때문에 이 해역의 수온은 다른 해역보다 세 배 더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