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아觀我Guanah Story
바다의 요정, 네레이데스(Nereides)
Guanah·Hugo
2025. 2. 23. 07:48
출처 : 미술로 여는 세상 | BAND
네레이드 또는 네레이데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바다의 요정으로,
네레우스와 도리스 사이에서 태어난 50명 (혹은 100명)의 딸들을 말한다.
이 바다의 요정들은 미모가 빼어났으며 미래를 예언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도 했다.
이 바다의 요정들은 미모가 빼어났으며 미래를 예언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도 했다.
바다의 신 포세이돈과 그의 아들 트리톤과 함께 다니면서 바다를 항해하는 선원들을 도와준다.
이들은 특히 에게 해와 관련이 깊으며 바다 깊은 곳의 은으로 된 동굴에서 산다.
<바다 폭풍 님페들의 동굴> 에드워드 포인터, 1903년, 개인 소장.
<외눈 거인 폴리페모스를 보고 놀라는 아키스와 갈라테이아> 오제 뤼카(Auger Lucas),
18세기경, 베르사이유와 트리아농 궁.
<안드로메다를 사슬에 묶는 네레이데스> 테오도르 샤세리오, 1840년, 루브르 박물관.
<남자의 시체를 들고 있는 네레이데스> 도메니코 페티(Domenico Feti), 17세기경, 퐁텐블로 성.
포세이돈과 네레이데스 Friedrich Ernst Wolfrom Poseidon und die Nereiden.
<아킬레스의 투구를 들고 있는 네레이드> BC 3세기경, 구운 진흙(terre cuite,), 루브르 박물관.
<바다 황소를 탄 네레이스>
네레이드 중에 가장 유명한 요정은
포세이돈의 아내가 된 '암피트리테'와
인간인 펠레우스와 결혼하여 트로이아 전쟁의 영웅 아킬레우스를 낳은 '테티스'
키클롭스 폴리페무스의 사랑을 받은 시칠리아의 '갈라테이아' 등이 있는데
이들을 제외한 다른 네레이드들은 바다의 여러 측면과,
네레이드 중에 가장 유명한 요정은
포세이돈의 아내가 된 '암피트리테'와
인간인 펠레우스와 결혼하여 트로이아 전쟁의 영웅 아킬레우스를 낳은 '테티스'
키클롭스 폴리페무스의 사랑을 받은 시칠리아의 '갈라테이아' 등이 있는데
이들을 제외한 다른 네레이드들은 바다의 여러 측면과,
그들 자신과 그들의 아버지의 특징들인 미모, 관용, 예언력 등을 참고하여,
그 이름이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암피트리테의 승리> 샤를 나투아르, 1730년대, 바르샤바 국립미술관
넵투누스와 암피트리테 Neptune and Amphitrite - Paris Bordone (1560)
<포세이돈과 암피트리테> 마뷔즈(Mabuse), 1516년, 베를린 국립 회화관.
<갈라테이아> 라파엘, 1512년, 빌라 파르네시나.
갈라테이아 Gustave Moreau - Galatée.
*테티스(Thetis)
테티스(Thetis)는 그리스 신화에서 하늘의 지배자인 제우스와,
*테티스(Thetis)
테티스(Thetis)는 그리스 신화에서 하늘의 지배자인 제우스와,
바다의 지배자인 포세이돈이 사랑했던 네레이스(호메로스는 그녀를 '은빛 발'을 지닌 요정이라 불렀음)이다.
정의의 여신 테미스가 테티스가 낳은 아들이 아버지보다 더 강한 존재가 되리라고 밝히자,
정의의 여신 테미스가 테티스가 낳은 아들이 아버지보다 더 강한 존재가 되리라고 밝히자,
제우스와 포세이돈은 테티스를 펠레우스에게 넘겨주게 된다.
인간과 결혼하는 것을 달갑지 않게 여긴 테티스는 여러 모습으로 접근을 막으려 했지만,
펠레우스는 지혜로운 켄타우로스인 키론의 도움을 받아 테티스를 사로잡는다.
테티스와 펠레우스가 결혼하자 모든 신들이 선물을 했으며,
테티스와 펠레우스가 결혼하자 모든 신들이 선물을 했으며,
그들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 아킬레우스였다.
그러나 어떤 설에 따르면, 테티스는 7명의 아들을 낳았는데,
그러나 어떤 설에 따르면, 테티스는 7명의 아들을 낳았는데,
불로 아들들을 영생하게 만들려 하다가 죽게 만들었다고 하며,
또 다른 설로는 원하지 않은 결혼을 했다는 표시로 7명의 아들을 모두 죽였다고도 한다.
모든 신들이 제우스에게 반항했을 때 테티스는 제우스 편을 들었고,
헤파이스토스와 디오니소스를 바다에서 구해내기도 했다.
테티스 신전은 스파르타에 있다.
<신들의 성찬 (펠레우스와 테티스의 결혼식)> 한스 로텐함머, 1600년경, 에르미타주 미술관.
<자신의 아들 아킬레우스에게 무기를 만들어 달라고 헤파이스토스에게 부탁하는 테티스> 요한 하인리히 휘슬리,
1803년, 취리히 쿤스트하우스.
제우스와 테티스 [Jupiter et Thétis],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 1811년, 그라네 미술관.
아폴론과 테티스 [Apollon et Thétis], 샤를 드 라 포스, 1685년경, 베르사이유와 트리아농 궁.
<아킬레우스의 죽음을 애도하는 테티스> 요한 하인리히 휘슬리, 1780년,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접시 : 펠레우스와 테티스 [Assiette : Pelée et Thétis], 16세기경, 국립 르네상스 미술관.
테티스 [Thétis], BC 27년~476년경, 루브르 박물관.
*트리톤(Triton)
트리톤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바다의 신 중 하나로,
*트리톤(Triton)
트리톤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바다의 신 중 하나로,
‘바다의 신’포세이돈과 그의 아내 암피트리테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포세이돈의 전령으로 상반신은 인간의 모습이며,
하반신은 물고기의 모습을 한 전형적인 인어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트리톤은 아버지 포세이돈처럼 삼지창을 들고 다니는데,
트리톤은 아버지 포세이돈처럼 삼지창을 들고 다니는데,
특히 소라 고동 나팔을 항상 들고 다니면서,
이 나팔을 불어서 파도를 일으키고 잠잠하게 한다.
트리톤이 소라 고동을 힘껏 불면 거인들도 무서워서 벌벌 떨었다고 한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트리톤은 아버지와 함께 바다 깊은 곳의 황금 용궁에 살았다고 하며,
아르고 원정대 전설에서 그 왕궁은 리비아 해안에 있었다고 한다.
디즈니 "인어공주" 에서는 주인공 에리얼의 아버지로도 표현된 바 있다.
디즈니 "인어공주" 에서는 주인공 에리얼의 아버지로도 표현된 바 있다.
Arnold Böcklin - Triton and Nereid
Arnold Böcklin - Triton and Nereid
파도의 유희 Arnold Boecklin Spiel der Wellen 1883
Peter Paul Rubens - Nereïde op een triton rijdend - St 32 - Museum Boijmans Van Beuningen.
<트리톤과 네레이스> 파울 루벤스, 1636년, 보이만스 반 뵈닝겐 미술관.
A Triton blowing on a conch on this title page of Alexander Justice, Samuel Pepys and Josiah Burchett:
A general treatise of the dominion of the sea, 1710
<트리톤, 네레이데스와 에로스> 제라르 반 옵스탈, 17세기경
Gold armband with Triton holding a putto, Greek, 200 BC (Metropolitan Museum of Art)
Triton and Nymphe fountain by Viktor Tilgner in the Volksgarten (Vienna)
<트리톤 촛대> 웨지우스, 1780년, 부룩클린 미술관.
Arnold Böcklin - Triton and Nereid
트리톤(Triton)은 허리까지는 사람의 형상이고,
트리톤(Triton)은 허리까지는 사람의 형상이고,
그 밑에는 물고기 꼬리가 달린 인어의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트리톤의 독특한 상징물은 소라고둥인데,
그는 소라고둥을 불어 파도를 일으키거나 가라앉혔다.
<트리톤 석상>
The Triton Fountain, by Gianlorenzo Bernini, R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