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海外旅行Overseas Trip Story

펭귄의 비밀(글 : 해나 노드하우스 외, 사진 : 버티 그레고리 외)

Guanah·Hugo 2025. 5. 1. 07:11

출처 :  [펭귄의 비밀]-내셔널지오그래픽매거진

 

남극 대륙의 댄코섬 부근에서 촬영한 턱끈펭귄과 젠투펭귄의 모습이다.

이 두 종은 먹이를 찾아 정기적으로 30m 깊이까지 잠수한다.
DAVID DOUBILET, NATIONAL GEOGRAPHIC IMAGE COLLECTION

 

갈라파고스펭귄 한 마리가 페르난디나섬 인근의 차갑고 투명한 물속에서

바다거북과 바다이구아나와 함께 헤엄치고 있다.

TUI DE ROY, NATURE PICTURE LIBRARY

 

남인도양에 자리한 매리언섬의 굿호프만에서 촬영한 새끼 킹펭귄의 모습이다.

녀석의 갈색 털은 방수 기능은 없지만

생후 10개월경에 털갈이를 하기 전까지 추위를 막아준다

털갈이를 하면 갈색 털은 검정색과 하얀색이 섞인 깃털로 대체된다.

THOMAS PESCHAK, NATIONAL GEOGRAPHIC IMAGE COLLECTION

 

왕관을 닮은 노란색 장식깃에서 이름이 유래한 로열펭귄은

남빙양에 있는 매쿼리섬의 토착종으로 대규모 군집을 형성해 짝짓기 성공률을 높인다.

이 같은 군집에서 50만 쌍 이상이 짝을 이룬다.

DOUG GIMESY, NATURE PICTURE LIBRARY

 

갈라파고스펭귄이 서식하는 이사벨라섬에는 바다이구아나도 살고 있다.

두 동물 모두 해안에 형성된 화산암 틈에서 생활하며 바다에서 사냥을 한다.

BERTIE GREGORY

 

보존생물학자이자 본 협회의 탐험가인 디 보엘스마(왼쪽)는

지난 50년 동안 갈라파고스펭귄과 변화하고 있는 녀석의 서식지를 연구해왔다.

그녀는 앞으로도 갈라파고스제도에서 연구가 계속될 수 있도록

지난 10년에 걸쳐 야생동물 생태학자인 캐롤라인 카펠로의 길잡이 역할을 담당해왔다.

RENE EBERSOLE

 

갈라파고스펭귄은 물고기 떼 아래쪽으로 잠수해 먹잇감을 수면으로 모는 방식으로 사냥을 한다.

때로는 그 과정에서 먹잇감이 기회를 노리는 갈색사다새의 입으로 직행하기도 한다.

BLICKWINKEL/GOETHEL, ALAMY STOCK PHOTO

 

지난해에 15m 높이의 절벽에서 바다로 몸을 던진 새끼 황제펭귄 수백 마리가 무사히 살아남았다

녀석들의 작은 체구와 풍성한 복부 깃털, 잘 발달된 가슴 근육이 충격을 최소화했을 가능성이 있다.

BERTIE GREGORY

 

황제펭귄은 울음소리로 구별할 수 있다.

녀석들은 무리 내의 시끄러운 소음 속에서도

자신의 짝 및 새끼들이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울음소리를 낸다.

새끼의 울음소리를 감지한 부모는 역시 울음소리를 내서 서로를 찾는다.

BERTIE GREGORY

 

황제펭귄은 다른 어떤 종보다 깊이 잠수해 수심 500m가 넘는 지점까지 도달할 수 있다.

또한 녀석은 물속에 20분 이상 머무를 수 있다.

PAUL NICKLEN, NATIONAL GEOGRAPHIC IMAGE COLLECTION

 

펭귄은 해빙으로 복귀할 때 깃털에서 기포를 발산한다.

이를 통해 항력을 줄이고 물밖으로 빠르게 튀어나올 수 있다.

얼음과 충돌하는 순간에는 숨을 제대로 쉴 수 없기 때문에 간혹 꽥 소리를 내는 경우도 있다.

BERTIE GREGORY

 

빽빽하게 겹친 깃털과 두꺼운 지방층은 남극의 혹독한 추위로부터 황제펭귄을 보호한다.

알을 품는 동안 극한의 기후를 견디기 위해 수백 마리의 수컷이 서로 바짝 달라붙어 있는다.

FRANS LANTING, NATIONAL GEOGRAPHIC IMAGE COLLECTION

 

황제펭귄은 뒤뚱대는 걸음걸이로 인해 이동 속도가 느리다.

그래서 땅에서는 배를 바닥에 붙이고 날개와 발로 땅을 밀면서 미끄러져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이 효율적인 방식을 활용하면 해안을 오갈 때 빙판을 가로질러 장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BERTIE GREGORY

 

[펭귄은 어떻게 퍼져 나갔을까]

남극 대륙의 얼어붙은 해안부터 갈라파고스제도의 따뜻한 해안에 이르기까지

펭귄은 뜻밖의 장소에서도 번식에 성공하는 탁월한 능력을 선보여왔다.

그 비결은 무엇일까?

바로 펭귄이 남빙양에서 갈라져 나온 지류 근처에서 생활하고 먹이를 사냥하며 새끼를 낳아 기르는 등

차가운 바다에 매우 효과적으로 적응했다는 점이다.

펭귄 18종이 각자의 서식지에 맞게 고유한 방식으로 적응했다.

 

[위기에 내몰린 펭귄들]

몇몇 펭귄 종은 해빙이 얼고 녹는 주기에 번식의 성공 여부가 달려 있다.

하지만 지난 30년 동안 과학자들은 해빙의 범위 및 농도의 변화를 추적해왔다.

남극반도의 서해안을 따라 가장 급격한 감소세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로 인해 턱끈펭귄과 젠투펭귄, 황제펭귄의 생존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펭귄의 놀라운 능력은 실제로 어떤 과정을 거쳐 나타나는가]

펭귄은 혹독한 환경에서 생존하는 데 그치지 않고 다수가 번성하고 있다.

물이 스며들지 않는 깃털층과 추위에 강한 정맥,

독특한 울음소리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이 수중 생물이 지닌 해부학적 강점을 몇 가지 소개한다.

 

[펭귄의 놀라운 능력은 실제로 어떤 과정을 거쳐 나타나는가]

펭귄은 혹독한 환경에서 생존하는 데 그치지 않고 다수가 번성하고 있다.

물이 스며들지 않는 깃털층과 추위에 강한 정맥,

독특한 울음소리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이 수중 생물이 지닌 해부학적 강점을 몇 가지 소개한다.

 

[펭귄의 놀라운 능력은 실제로 어떤 과정을 거쳐 나타나는가]

펭귄은 혹독한 환경에서 생존하는 데 그치지 않고 다수가 번성하고 있다.

물이 스며들지 않는 깃털층과 추위에 강한 정맥,

독특한 울음소리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이 수중 생물이 지닌 해부학적 강점을 몇 가지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