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아觀我Guanah Story
모세(Moses)
Guanah·Hugo
2025. 4. 8. 23:39
출처 : 미술로 여는 세상 | BAND
The Finding of Moses by Alma-Tadema, 1904
모세는 구약성서의 출애굽기(탈출기)부터 신명기에 나오는 예언자(預言者)이다.
이스라엘 민족의 지도자이자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위대한 예언자 중 하나다.
'모세'는 이집트의 공주, 즉 파라오의 딸이 지어 준 이름이라고 한다.
출애굽기에 따르면 요셉을 모르는 파라오가 즉위하자,
이집트인들은 이스라엘 백성들을 더욱 혹독하게 부렸다.
그들은 흙을 이겨 벽돌을 만드는 일과 밭일 등 온갖 고된 일을 시키면서 이스라엘 백성을 괴롭혔다.
Frederick Goodall, 1885
한편 파라오는 히브리 산파(한 사람은 시브라였고 또 한 사람은 부아였다)들에게 명령을 내렸다.
한편 파라오는 히브리 산파(한 사람은 시브라였고 또 한 사람은 부아였다)들에게 명령을 내렸다.
"히브리 여인이 해산하는 것을 도와줄 때에,
사타구니를 보고 아들이거든 죽여버리고 딸이거든 살려두어라."
그러나 산파들은 파라오가 하라는 대로 하지 않고 사내아이들을 살려주었고,
파라오가 그들을 꾸짖으면
'히브리 여인은 기운이 좋아 산파가 가기 전에 아기를 낳아 버린다.'
며 둘러댔다.
Orazio Gentileschi, Prado, 1633,
one of two versions.
그러자 파라오는
그러자 파라오는
"히브리인들이 계집아이를 낳으면 살려두되,
사내아이를 낳으면 모두 강물에 집어넣어라."
라고 명령했다.
(출애굽기 1:6-22)
이때 태어난 사람이 모세이다.
모세는 어머니와 누나 미리암
(후에 여자 예언자 즉, 여자 설교자가 된다.)
의 기지로 겨우 살아남았다.
A painting by Paul Delaroche, before 1857,
was much reproduced in prints and book illustrations.
아기를 더 숨겨둘 수 없게 되자
아기를 더 숨겨둘 수 없게 되자
갈대상자를 얻어다가 역청과 나무진을 바르고
그 속에 아기를 뉘어 강가 갈대 숲 속에 놓아두었는데,
마침 파라오의 딸이 강에 목욕하러 왔다.
물에서 구해지는 모세, 아드리엔 반 데르 베르프(Adriaen Van der Werff),
1722년, 75 x 60 cm, 렌 미술관.
공주는 아기를 보자 측은지심이 들어 키우고자 했다.
공주는 아기를 보자 측은지심이 들어 키우고자 했다.
숨어서 이 광경을 보던 누나 미리암의 제안으로
히브리인인 모세의 어미가 유모 일을 하게 되었다.
공주는 모세를 양자로 삼았고,
강에서 건진 아이라는 뜻으로 모세라고 이름도 지어주었다.
[모세의 발견 Finding of Moses]
[모세의 발견 Finding of Moses]
물에서 구해지는 모세, 니콜로 델 아바테(Nicolo dell' Abate),
16세기경, 82 x 83 cm, 루브르 박물관.
물에서 구해지는 모세, 장 자크 라그레네 2세(Jean-Jacques Lagrénée le Jeune),
18세기경, 65 x 52 cm, 마냉 미술관.
모세를 발견함, 자코포 로부스티(Jacopo Robusti)/ 필명 틴토레토(Tintoretto),
16세기 전반경, 76.3 x 132 cm,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모세를 발견함, 칼리아리 파올로 베로네세(Caliari Paolo Véronèse),
16세기 전반경, 43 x 50 cm, 프라도 미술관.
모세의 발견, 안토니오 드 벨리스(Antonio De Bellis), 1645년 ~ 1655년,
91.5 cm x 131.4 cm, 런던 내셔널 갤러리.
모세의 발견, 프란체스코 주뇨(Francesco Zugno),
1740년경, 53.7 x 80.7 cm, 런던 내셔널 갤러리.
모세의 발견, 니콜라 푸생(Nicolas Poussin), 1651년,
115.7 cm x 175.3 cm, 런던 내셔널 갤러리.
Poussin, 1638, Louvre, with the male "swimmer" from Josephus, and a personification of the Nile at left.
모세의 발견, 지오반니 바티스타 티에폴로(Giovanni Battista Tiepolo),
18세기 중엽경, 국립 스코틀랜드 미술관.
Nicolas Poussin, 1647 (the "Pointel" version), Louvre. Men hunt hippos from a boat behind.
파라오의 딸 - 모세의 발견 에드윈 롱(Edwin Long), 1886년, 276.8 x 196.7 cm, 브리스틀 박물관.
Paulus Bor and Cornelis Hendriksz Vroom, 1630s
The Exposition of Moses, as his mother casts him off.
The princess's party is further down the bank. Nicolas Poussin.
Bonifazio de' Pitati, 1545, Brera, Milan, 175 × 345 cm
One of several treatments by Veronese, 1580s, Dijon.
James Tissot, 1896–1902, gouache.
Niccolò dell'Abbate, c. 1570, Louvre.
The casting-off in the foreground, combined with the finding at rear, 15th-century.
Dura-Europos Synagogue, c. 244
From the Golden Haggadah [ca], Catalonia, c. 1320
Jami' al-tawarikh, c. 1310, Edinburgh.
12th-century glass, Saint-Denis.
French Romanesque capital, aware of the classical tradition of the Nilotic landscape.
[모세 Moses]
[모세 Moses]
Moses holding up his arms during the battle against Amalek,
assisted by Aaron and Hur; 19th-century painting by John Everett Millais.
Philippe de Champaigne - Moses with the Ten Commandments.
모세(Moses)는 기원전 13세기경의 고대 이스라엘의 지도자.
모세(Moses)는 기원전 13세기경의 고대 이스라엘의 지도자.
이집트에서 노예 생활의 고통에 시달리던 이스라엘 민족을 이끌고 탈출하여,
40년간 황야를 방랑한 끝에 약속의 땅 가나안으로 그들을 인도하였다.
시내 산(Sinai山)에서 십계(十戒)를 비롯한 신의 율법을 받아,
시내 산(Sinai山)에서 십계(十戒)를 비롯한 신의 율법을 받아,
이스라엘 민족에게 전함으로써 여호와와 이스라엘 민족 간의 계약(契約)을 중개(仲介)하였다.
<모세가 바위를 치고 있다>
모세의 미디안 생활
40세가 된 모세는 동족인 이스라엘 민족이 심한 노역을 당하는 모습을 보고는 감독을 죽였다.
모세의 미디안 생활
40세가 된 모세는 동족인 이스라엘 민족이 심한 노역을 당하는 모습을 보고는 감독을 죽였다.
이 후 이집트와 가나안의 중간 지대인 미디안으로 피신한다.
망명자가 된 그는 미디안 종교의 사제인 이드로의 딸과 결혼하여 살면서,
이드로의 영향으로 종교 지도자로서의 소양을 익혔다.
그 실례로 소위 모세 5경이라고 불리는 레위기를 보면,
그 실례로 소위 모세 5경이라고 불리는 레위기를 보면,
제사법 및 종교건축에 대해 자세히 언급되어 있다.
저절로 불이 타오르는 초자연현상(엘모의 불)을 계기로,
야훼를 만난 그는 민족을 구원하라는 명령에 따른다.
파라오가 노동력 손실을 우려하여 해방요구를 거부하자,
파라오가 노동력 손실을 우려하여 해방요구를 거부하자,
모세는 신의 계시를 받고 초자연적인 10가지 재앙을 일으켜 굴복시킨다.
야훼의 도움으로 모세와 이스라엘 민족들은 갈,
바다를 건너 이집트를 탈출하며,
그들의 신과 모세를 믿게 되었다.
The Women of Midian Led Captive by the Hebrews James Tissot c.1900
<사막에서 하늘의 선물 만나를 받는 이스라엘인들> 니콜라 푸생(Nicolas Poussin),
17세기경, 149 x 200 cm, 루브르 박물관.
광야 생활
이집트에서 탈출한 모세는 불평불만이 심한 백성들과 논쟁을 벌이며,
광야 생활
이집트에서 탈출한 모세는 불평불만이 심한 백성들과 논쟁을 벌이며,
광야생활을 해야 했다.
하지만 이들의 불평은 그치지 않았고,
그때마다 야훼는 만나 등을 내려주며,
야훼 공동체가 실천해야 할 평등을 익히게 하였다.
모세는 가나안에 들어가지는 못했는데,
모세는 가나안에 들어가지는 못했는데,
모세가 해야 할 일은 민족을 구원하는 일이었지,
가나안 입성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가나안의 입성은 후계자 여호수아가 이루어냈다.
<예수님 의 변모에 나타나는 모세>
성서고고학에서 보는 출애굽 (이집트 탈출) 사건
출애굽(이집트 탈출)의 연대는 B.C 1446년설과 B.C. 1229년 두 가지가 있다.
성서고고학에서 보는 출애굽 (이집트 탈출) 사건
출애굽(이집트 탈출)의 연대는 B.C 1446년설과 B.C. 1229년 두 가지가 있다.
성서고고학자들 중에 출애굽기에 나오는 기적을 자연현상이라고 보는 학자들이 있다.
예를 들어, 이들은 고대 이집트가 암흑에 빠져들었다는 9번째 재앙의 경우,
당시 그리스의 산토리니 화산 분출로 인해 퍼진 화산재의 영향이라고 분석한다.
<십계명>
십계명
이집트에서 탈출한 모세와 이스라엘 민족은 40년간 사막을 여행했으며,
십계명
이집트에서 탈출한 모세와 이스라엘 민족은 40년간 사막을 여행했으며,
십계명을 야훼로부터 받았다.
물론 모세가 받은 십계명은 처음부터 열 가지 계명으로 분류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기독교 교파마다 계명의 분류가 다르다.
루터교와 로마 가톨릭에서 사용하는 십계명은 1계명과 2계명이 분리되어 있지 않지만,
루터교와 로마 가톨릭에서 사용하는 십계명은 1계명과 2계명이 분리되어 있지 않지만,
성공회와 개신교에서 사용하는 십계명은 분리되어 있다.
나는 너희 하나님이라
① 나 외에는 위하는 신들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
② 자기를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고
③ 너의 하나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지 말라
④ 안식일을 지켜 거룩하게 하라
⑤ 네 부모를 공경하라
⑥ 살인하지 말지니라
⑦ 간음하지도 말지니라
⑧ 도적질하지도 말지니라
⑨ 네 이웃에 대하여 거짓 증거하지도 말지니라
⑩ 탐내지도 말지니라
나는 너희 하나님이라
① 나 외에는 위하는 신들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
② 자기를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고
③ 너의 하나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지 말라
④ 안식일을 지켜 거룩하게 하라
⑤ 네 부모를 공경하라
⑥ 살인하지 말지니라
⑦ 간음하지도 말지니라
⑧ 도적질하지도 말지니라
⑨ 네 이웃에 대하여 거짓 증거하지도 말지니라
⑩ 탐내지도 말지니라
Moses before the Pharaoh, a 6th-century miniature from the Syriac Bible of Paris.
모세의 저작
모세는 모세오경(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을 기술했다고 알려졌다.
반론 신명기 34장에 그의 죽음에 대해 언급되어 있는 것 등을 이유로,
모세의 저작
모세는 모세오경(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을 기술했다고 알려졌다.
반론 신명기 34장에 그의 죽음에 대해 언급되어 있는 것 등을 이유로,
모세오경의 모세저작설을 부정하는 학자들이 있다.
그러나 신명기 1장 1절은 신명기의 저자가 모세임을 밝혀 주는 암시가 있다.
문서설에 따르면 신명기의 원저자는 모세이나,
모세가 죽은 후에 모세의 죽음에 대한 신명기의 기사를 모세의 후손들이 첨가했다고 본다.
Moses Breaking the Tablets of the Law by Rembrandt.
Statue of Moses at the Library of Congress.
Statue by Michelangelo Buonarotti – in Basilica San Pietro in Vincoli, Rome.
<만나를 주워 모으는 이스라엘 사람들> 에르콜레 드 로베르티, 1490년경, 템페라화, 28.9 x 63.5 cm, 런던 내셔널 갤러리.
*만나(manna)는 모세의 지도 아래,
*만나(manna)는 모세의 지도 아래,
이집트(에집트 ·애굽)를 탈출한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 이르러 굶주릴 때 하느님이 내려준 신비로운 양식이다.
구약성서 《출애굽기》를 보면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씬 황야에서 방황하고 있을 때,
구약성서 《출애굽기》를 보면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씬 황야에서 방황하고 있을 때,
그들은 먹을 것이 떨어져 굶어 죽기 직전의 상태에 빠졌다.
하느님은 이를 불쌍히 여겨
“하늘에서 빵을 내려주겠노라”
고 모세에게 전하였다.
이튿날 아침 이스라엘 백성들의 야영지 한쪽,
이튿날 아침 이스라엘 백성들의 야영지 한쪽,
언저리 마른자리에 밤 사이에 내린 싸락눈 같은 것이 하얗게 덮여 있었다.
이것이 만나인데,
맷돌에 갈거나 절구에 찧어 솥에 쪄서 떡을 만들어 먹었다고 전한다.
만나는 40년 동안 그들의 주식이 되었는데,
이것은 날마다 내렸으며 하루치 이상은 되지 않았다.
(두산백과)
The Gathering of the Manna, c. 1460-1470.
<만나 수집> 자메 티소트.